프로젝트를 함께 진행하다 보면
“이 사람 이번 주 일정 비어 있나?”,
“팀 회의 언제 잡지?” 같은 고민이 생깁니다.
이럴 때 구글 캘린더의 **‘캘린더 공유 기능’**을 활용하면
서로의 일정을 실시간으로 확인하고,
중복 없이 회의 잡기, 휴가 확인, 마감일 공유 등이 훨씬 쉬워집니다.
이번 글에서는 캘린더 공유 설정부터 공동 사용 팁, 공유 시 주의사항까지 실전 예제로 정리해드립니다.
✅ 구글 캘린더 공유가 왜 중요한가?
효과설명
일정 겹침 방지 | 팀원 일정 확인 후 회의 시간 조율 가능 |
업무 투명성 확보 | 누구나 일정과 진행 상황 확인 가능 |
휴가, 외근 공유 | 부재 중 일정 미리 공유해 업무 차질 최소화 |
일정보다 커뮤니케이션 줄이기 | “이 시간 어때요?” 질문 줄어듦 |
🧭 캘린더 공유하는 방법 (PC 기준)
1. 좌측 내 캘린더 > 마우스 오버 > 점 ︙ 메뉴 클릭
→ [설정 및 공유] 선택
2. '특정 사용자와 공유' 항목에서
→ 팀원 이메일 추가
3. 권한 설정
권한 옵션설명
보기 권한만 (시간만 표시) | 비어 있는 시간만 볼 수 있음 |
모든 일정 세부정보 보기 | 일정 제목, 내용까지 확인 가능 |
일정 수정 가능 | 일정 추가/수정/삭제 가능 |
관리자 권한 | 권한 변경도 가능 (팀 리더용) |
✔️ 기본은 "모든 세부정보 보기" 권장
✔️ 프로젝트 매니저라면 "일정 수정 가능" 추천
📱 모바일에서 공유 설정하기
구글 캘린더 앱 자체에서는 공유 설정 불가 🙅
→ 하지만, PC에서 공유해두면 모바일에서도 동기화되어 확인 가능
💡 업무 중에는 모바일에서 일정만 확인,
공유 및 편집은 PC에서 진행하는 것을 추천합니다.
🛠 실전 활용 예시
상황해결 방법
회의 시간 조율 | 참석자 모두의 캘린더 확인 후 겹치지 않는 시간 선택 |
출근/재택일 확인 | 직원별 캘린더에 근무 형태 기록 공유 |
마감일 관리 | 프로젝트별 캘린더 생성 → 공유 |
외부 미팅 일정 공유 | 외근자 일정 확인 가능하도록 공유 설정 |
🎯 추가 팁: 공유 캘린더 응용하기
✔ 부서별, 프로젝트별 캘린더 따로 만들기
- 예: 마케팅팀 일정, A프로젝트 일정, 개인 캘린더
- 일정 분리로 가독성 높이고, 필요한 캘린더만 보기 설정 가능
✔ 캘린더 색상 커스터마이징
- 프로젝트별 색상 지정
→ 일정 유형별 시각적 구분 쉬움
✔ Google Meet 자동 추가
- 회의 일정 생성 시, Google Meet 링크 자동 생성
→ 일정 공유만 해도 바로 회의 접속 가능
🛑 공유 캘린더 사용 시 주의사항
항목설명
개인정보 포함 일정은 주의 | 일정 내용은 모두 노출됨 (비공개 처리 가능) |
권한 조정은 신중하게 | 편집 권한이 있으면 실수로 삭제할 수 있음 |
캘린더 삭제 시 주의 | 공유 캘린더는 삭제하면 전체에서 사라짐 – 소유자만 삭제 가능 |
✅ 마무리
구글 캘린더 공유 기능을 잘 활용하면
회의 일정 조율, 프로젝트 관리, 부재일 공유까지
모든 업무 일정이 투명하고 효율적으로 운영됩니다.
특히 비대면 근무, 원격 협업이 많아진 요즘엔
"물어보지 않고도 스케줄을 조율할 수 있는 환경"이
생산성을 좌우합니다.
다음 글에서는 구글 캘린더 + To-do 리스트 연동으로 생산성 높이기를 주제로 알아보겠습니다.
팀 단위 스케줄 관리에 고민이 있다면 댓글로 질문도 환영입니다 😊
'IT > 구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시간 차단법(Time Blocking)으로 하루 루틴 만들기 – 구글 캘린더로 생산성 극대화하기 (5) | 2025.06.16 |
---|---|
구글 캘린더 + To-do 리스트 연동으로 생산성 높이기 (0) | 2025.06.15 |
구글 캘린더로 일정 자동화 – 반복 일정, 리마인더 설정법 (2) | 2025.06.13 |
공유받은 스프레드시트 편집이 안 될 때 해결법 – 권한, 복사, 편집 불가 원인 총정리 (0) | 2025.06.12 |
구글 설문지 결과를 스프레드시트로 자동 정리하는 팁 – 설문 응답 관리 완전정복 (1) | 2025.06.11 |